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무라타사야카
- 편의점인간
- 니체의 말
- 봄에나는없었다
- 행복은 누추하고 불행은 찬란하다.
- 러셀커크
- 각본집
- 여자둘이살고있습니다
- 오늘의주제는휴일
- 글쓰기모임
- 지식채널e inside
- 괜찮아사랑이야
- 지적인사람들을위한보수주의안내서
- 저 청소일 하는데요?
- 노희경극본집
- 킹스맨
- 독서의 신
- 케이틀린 도티
- 90년대생이 온다
- 24개의 인격
- 국가란 무엇인가
- 이상한 펭귄
- 13가지죽음
- 사나운 펭귄
- 잘해봐야시체가 되겠지만
- 항구의 사랑
- 오늘의주제는편견
- 오늘의주제는사랑
- 마틴 하이데거
- 착한 펭귄
- Today
- Total
생각 털어내기
180303 아들러의 인간이해(1) 본문
01.
출판사의 소개글에 낚였어요ㅋㄱㄱㄱㅋ재밌어보이게 썼는데 안재밌음... 어려움....엄청어려움...
대학교때 심리학 교양강의때 공부할거같은 느낌이에요
미움받을용기가 아들러의 심리학을 쉽게 풀었고 잘 정리했다는걸?알게되었네요 어려운사람이었오 아들러씨ㅠㅠ
02 . 낚였던 출판사 책소개
인간은 왜 열등감을 갖게 됐을까? 우리는 왜 자꾸 인정받고 싶어 할까? 사랑하는 관계에서도 왜 권력욕이 생길까? 형제는 왜 서열에 따라 성격이 다를까? 남자는 과연 선천적으로 우월한 존재일까? … 이처럼 인간에 대한 풀리지 않는 질문에 관해 아들러는 인간을 기억, 정서, 행동 등의 총체로 보고, 사회적 맥락에서 인간의 마음을 풀어냈다.
“인간은 인간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개인심리학으로 인간에 관한 풀리지 않는 의문과 대면하다
=> 재밌어 보이지 않나요? 근데 읽어도 답을 모르겠음..
03. 읽은부분까지하면, 자기합리화의 나
저는 일단 일반론/성격론 나눠진 챕터에서 일반론정도 까지 읽었는데요
일단 간단한 요약은
*인간의 정신은 열등감과 인정욕구를 바탕으로 유아기때 형성된다.
한 사람의 행동 표현이 지향하는 목표는 유아기 때 외부 세계로부터 받은 인상에 의해 결정된다. 개인의 목표나 이상은 생후 몇 개월 사이에 형성된다. 왜냐하면 어린아이는 주로 기쁨과 불쾌감으로 반응하는데, 이 감정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아이는 이 시기에 바깥 세상에 대해 명확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윤곽이 드러난 이미지, 즉 세계상을 처음 갖게 된다. -p.30
*인간의 정신은 개인보다 공동체에 적합하다
인간의 정신은 처음부터 공동체의 여러 조건들과 상호 작용하는 관계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모든 능력은 사회생활의 토대 위에서 개발된 것이며, 인간의 모든 사고는 공동체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p.37
그리고 요새 느끼는 사람들 유형 중 하나가 적혀있길래 가져와 봤어요
(어떤) 사람들은 겉으로는 타인의 암시나 제안을 받아들일 자세가 되어 있다고 말하지만, 대부분 호전적이어서 쉽게 갈등을 유발한다. 이들은 열린 마음과 사리 분별에 대해 말하지만, 그것은 자신의 고립된 입장을 공고하게 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실제로 이들은 고집불통이기 때문에 이들과 무슨 일을 함께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p.72
왜 어디선가 본거 같죠 이런 분...?
실제로 아들러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열등감'을 크건 작건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 본인도 어릴때 건강이 좋지 못했고 명석한 형과 비교되었다고 해요.. 열등감은 유년시절부터 기인하는데, 아이에게 애정욕구와 인정욕구를 불러 일으키고, 결국 부모를 두고 벌이는 형제간의 애정 경쟁, 학교에서 점수 경쟁, 결국엔 이런 경쟁이 친구, 부부사이에서도 평등한 관계 대신 크고 작게 권력을 쥐고 싶어하는 모습으로 발현된다고 하네요
열등감, 보상심리, 인정욕구, 권력욕
열등감이 나타나는 순간이 아이가 기억을 가지는? 정신적인 삶의 과정이 시작되는 순간이며 열등감이 심할 경우에 인간은 마음의 고통을 얻지만, 반대로 삶의 동력이 되어 목적으로 동기부여를 할 수 있기도 하고 (공동체가 조화롭다는 가정 하에) 뭐 그렇습니다. 장점인지 단점인지에 대한것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하면서
열등감이란 모든 인간에게는 주어진, 내재 조건이니 '나는 그렇지 않다. 나는 열등감이 없어'라고 말하기 전에 다시 한번 자기를 돌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솔직하게 물어보고...
.
아들러는 서문에서 '인간의 마음 속에 운명이 있다.' 라고 하는데
그래서 제 운명은 어딨는지 아직도 못찾음...어려움...
1927년에 쓰여졌다고 하는데 지금도 와닿는 부분이 있어서 재밌었어요
그리고 제 7장 남성과 여성의 관계, 이부분은 오히려 우리가 현재 직면한? 문제중 하나일 거 같구요
이부분은 다 읽고 쓰도록 하겠습니당
'기록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0310 스타일과 목적을 살리는 웹 글쓰기 (0) | 2018.04.06 |
---|---|
180224 종의 기원 (0) | 2018.04.05 |
180120 여덟단어 (0) | 2018.04.03 |
180113 보건교사 안은영 (0) | 2018.04.02 |
180106 나는 까칠하게 살기로 했다. (0) | 2018.04.01 |